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해양생태계
- 군대 투폰
- 제목은 없으나 기대되는 신작
- 영화 관람 팁
- 과학기술
- 톰 홀랜드와 젠데이아 출현하는 신작 영화
- 경제적이점 환경논란 자원개발
- 티스토리챌린지
- 블로그토론 토론주제
- 전기역사
- 와수리 맛집
- 일본 성매매 문제
- 에너지연구
- 한반도 전쟁
- 자원채굴
- 전기응용
- 클레이튼 바퀴
- 지구환경 생태계파괴
- 환경보호
- 담배
- 하이엔드브랜드
- 바다광물
- 헤이즈 신곡
- 오블완
- 해치지않아 한국 영화 영화 리뷰
- 헤이즈
- 광물발견
- 배틀그라운드
- 산소발생광물
- 지속가능성 과학기술
- Today
- Total
토크쇼
현재 넷플릭스 비난하고 있는 이유 본문
넷플릭스 같은 경우 영화플랫폼으로 일정요금을 내고 그 영화를 합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tv에서 2만원이든 3만원 영화이든 넷플릭스에서 최소 만원만 내더라도 이 영화를 볼 수 있으며 가성비가 좋다고하죠 또한 프리미엄하고 스탠다는는 약 만원정도밖에 차이가 안나는데 넷플릭스에서 최근 구독료를 인상했다는 것입니다. 이를 보면서 구독료인상으로 디즈니플러스로 갈아탄다 등 많은 의견이 보이고 있었으며 저같은 경우는 갑자기 결재재시도가 뜨면서 아래와같은 화면으로 넘어가게됩니다. TMI로 이때 엄카를 분실해서 카드번호도 몰라서 3일인가 일주일인가 그쯤 걸렸습니다.뭐 암튼 TMI였고요..
이런와중에 또다른 문제가 있습니다. 망사용료를 안낸다는건데 이거 소식은 이슈왕에서 보고왔는데 한가지 글을 쓰면서 의문점이 들기시작했습니다. 디즈니+는 한국상륙한지 얼마안되었고, 또한 넥플유저들이 디즈니플러스로 넘어가는 상황인데 이러면 디즈니플러스도 한국 망사용료를 아직까지 안내고있는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어서 검색을 해보니까 관련기사가 있더군요 가짜인지 진짜인지 구분은 못하기때문에 70%만 믿어주실거라고 믿고
관련 기사 내용을 정리하지면 디즈니플러스는 넷플릭스와 달리 자체 캐시서버가 아닌 CDN 외부 사업자를 이용하며 디즈니는 CDN에게 사용료를 내고 해당 CDN이 국내 통신사 LG유플러스에 망 이용대가를 내는 것이므로 간접적으로 요금을 내고있다라는 것입니다.
CDN은 콘텐트 제공자의 중앙서버와 이용자의 물리적 거리가 멀 때, 대용량 콘텐트를 서버 여러 곳에 분산해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디즈니플러스와 같은 콘텐트 제공자들은 직접 서버를 증설하지 않고도 CDN 업체의 네트워크를 빌리면 끊김 없는 스트리밍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쿠팡 등의 업체가 각 지역에 거점 물류센터를 두고 ‘로켓배송’ 서비스를 하는 것처럼, 지역별 서버를 통해 이런 역할을 하는 게 CDN이다.
업계에서는 디즈니플러스가 CDN 활용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망 이용 대가를 간접적으로 지불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CDN 업체는 이용자에게 콘텐트를 전송하기 위해 통신사와 직접 망을 연결하고 비용을 지불한다. 디즈니플러스가 CDN 업체에 이용 요금을 지불하고, CDN 업체가 국내 통신사에 회선 이용료를 지불하면 결국 디즈니플러스가 간접적으로 망 이용료를 내게 되는 것과 같다는 논리다.
넷플릭스는 일본과 홍콩에 CDN 방식과 유사한 자체망인 오픈커넥트얼라이언스(OCA)를 두고 이를 활용하고 있다며 한국 통신사에 망 이용대가 납부를 거부하고 있다. OCA에서 데이터를 끌어오는 ‘전송 행위’는 SK브로드밴드 측의 의무이므로, 망 이용 대가를 지급할 수 없다는 게 넷플릭스 측의 입장이다. ‘접속은 유상, 전송은 무상’이라는 논리다. 이를 두고 지난해부터 SK브로드밴드와 소송전을 벌인 가운데 법원은 최근 ‘넷플릭스에 망 사용료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취지로 SK브로드밴드의 손을 들어줬다.
SK브로드밴드 측이 추산한 결과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연간 망 사용료로 272억원을 지불해야 한다. KT와 LG유플러스에도 비슷한 수준을 내야 할 경우 넷플릭스가 망 사용료로 내야 하는 금액만 연간 800억원이 넘는다. 하지만 넷플릭스가 여기에 불복해 즉각 항소하면서 다시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게 됐다. 한국 진출을 코앞에 두고 있는 디즈니플러스로서는 이러한 환경이 부담이었을 수밖에 없다. CDN 방식을 통신사에 먼저 제안한 것도 이러한 판단이 깔렸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SK텔레콤이 “디즈니와 협업은 없다”고 선언하면서, 디즈니플러스 제휴사는 KT와 LG유플러스의 2파전 양상으로 좁혀졌다. 이 중 LG유플러스가 적극적으로 구애에 나서면서 1순위로 꼽히고 있다. 다만 디즈니플러스 측은 통신사가 직접 운영하는 CDN은 이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통신사들도 망 이용 고객을 위해 자체 CDN 서비스 상품들을 선보이는 추세지만, 아카마이나 패스틀리 등 해외에서 기존에 이용하던 CDN 업체를 그대로 사용하겠다는 의미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망 이용료에 대한 분쟁을 피할 수 없는 만큼,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줄이려는 판단인 것 같다"고 말했다.



따라서 정리하지면
넷플에 이제 볼 영화가 많이 없어지는 상황에서 넷플릭스는 한국 망을 사용하면서 요금도 안내는데 넷플쪽에서는 오히려 요금인상을 하였으며, 이와반대로 디즈니플러스는 CDN이라는 사업자에게 비용을 내면서 국내통신사 LG유플러스에 망 이용대가를 간접적으로 내고있으며 LG유플러스에서도 인정하였습니다. 또한 이것이 어느정도 맞는 이유가 LG유플러스에서 디즈니플러스 서비스를 한다고 발표하였는데요 (넥플릭스도 KT하고 LG하고 손잡았으나 망사용료는 다른 이야기인듯?합니다. 암튼 이러한 이유로 손잡아서 서비스하는건 좋은데 디즈니쪽은 망사용료를 간접적으로 낸다는게 어느정도 인정되어있지만 넥플측은 sk브로드밴드의 의무라며 주장하는데 이것에 대해서 소송까지 하는중인데 너무 억측이 있지않나싶네요..저는 넷플영화 이번에 헝게게임시리즈 다봤고 앞으로 볼거다 알람설정해놓고 기다리는 중인데 그냥 뭘해도 제발 서비스중단만큼은 가지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참고로 망사용료는 이해하기 쉽게 말해드리자면 인터넷요금? 핸드폰 요금같은겁니다. 핸드폰은 skt를 쓰고있는데 밖에서나 집에서 유튜브에 자신이 만든 영상을 올렸을때 인터넷을 썼으니 인터넷요금을 내야하는 것과 영상만 올렸을뿐인데 인터넷요금을 내라는게 너무 억울하다 입장이 서로 충돌하여 소송까지 간거죠.
삼성폰을 쓰려고하는데 삼성쪽과 통신사에서 서로 어디가 더 많이 받아되나 이런식으로 대립했다는겁니다.
디즈니 플러스 넥플릭스처럼 뻗지않겠다
디즈니플러스 망사용료 관련기사
https://youtu.be/2Cu_7s1DHyo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알아주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 인기검색어 사이트 소 (0) | 2023.05.09 |
---|---|
담배때문에 지구온난화가 일어날수있을까? (0) | 2023.04.18 |
김구라 삿대질 논란 정리! (0) | 2021.09.23 |
포켓몬유나이트 폰버전 공식 출시 (0) | 2021.09.22 |
게임셧다운제 폐지...! 그렇지만 문제는 아직도 있을거같은 느낌이... (0) | 2021.08.26 |